打开APP
userphoto
未登录

开通VIP,畅享免费电子书等14项超值服

开通VIP
조선민족 력사상 최악의 그날..


고화질 생방송 련계전화: 186-4332-2920


매직바이크 전화: 155-8558-8132


소름 끼치는 6·25전쟁의 비하인드 스토리

(클릭하고 다시보기)


'남침'을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던

북조선에 절호의 기회가 왔고,



조선은 그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조선반도 력사상 가장 끔찍한

동족 간의 살육이 시작되였다.



조선군은 선제타격 작전에 따라

38선 전 전선에 걸쳐 '남침'을 개시했다.



서쪽 옹진반도부터 동쪽 개성, 

동두천, 포천, 춘천, 주문진에 이르는

38선 전역에서 밀고 내려왔다.



강릉 남쪽 정동진과 임원진에는

륙전대와 유격대를 상륙시켰다.



6월 25일 오후 1시 35분, 

조선의 김일성은 평양방송을 통해

조선이 북조선의 평화통일

제의를 거절했고,

오늘 아침 북조선이 공격당해

그에 반격한 것이라 말했다.



남조선군은 압도적인 화력을 가진

조선군의 기습공격을

저지할 방법이 없었다.



쏘련제 땅크 T-34를 앞세운 북조선군은

전쟁 발발 당일

개성과 동두천, 포천을 점령했고,



서부전선에서는 파주, 문산을 거쳐, 

중부전선에서는 동두천, 의정부를 거쳐

서울로 진격했다.



28일 새벽, 북조선

의정부, 서울 축선에서

남조선군의 7배가 넘는 전투력을 집중하여

미아리 방어선까지 격파한다.



불리한 상황에서도 남조선군은

전장 곳곳에서 북조선군에 치렬하게 맞섰다.



춘천을 지키고 있던 남조선 륙군 6사단은

남하하던 북조선군 2사단의

발목을 3일이나 묶어

조선의 최초 작전에 엄청난 차질을 빚게 했다.



당황한 북조선군은 홍천에서 전투중인

조선군 12사단 일부를 춘천으로 급파했고, 

12사단 역시 그들이 맡은 임무를

수행할수 없었다.



전쟁 당일 오전 9시 반에 경회루에서

낚시를 즐기고 있던 이승만은

6월 27일 새벽 2시, 

조선군에 의한 서울 함락이 림박하자

서울을 탈출했다.



대전으로 탈출한 이승만은

'서울 사수' 록음 방송을 국민에게 내보냈다.



'서울 시민 여러분, 

안심하고 서울을 지키시오.

적은 패주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여러분과 함께 서울에 머물 것입니다.'



'가만히 있으라'는 방송과 함께

6월 28일 새벽 2시, 한강대교는 폭파됐고,



'가만히 있었던' 100만 이상의 서울 시민은

퇴로를 차단당했다.



그날 낮, 서울에 북조선군이 입성했고

남아있는 서울 시민들 대부분은

적 치하에 갇히게 됐다.



조선군 치하에서 엄청난 희생을

감수해야 했던 서울 시민들은

3개월 후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하고

서울이 수복되자

많은수가 반역에 가담했다고 하여

처형당했다.



시민을 버리고 떠난 정부로부터

부역자 취급을 받아 처벌받은

무고한 민간인의 피해는 매우 컸다.


※ 부역자 : 국가에 반역이 되는 일에

동조하거나 가담한 사람.



미국 현지시각 1950년 6월 24일,

조선의 '남침'사실을 보고받은

트루먼 대통령은 격노했다.



그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소집을 제시했고,

유엔은 신속하게 움직였다.



6월 25일, 유엔 안보리는

38선 이북으로 북조선군 퇴각을 요구했고,

조선이 이를 무시하자

27일에 유엔군 참전을 결의했다.



6월 26일, 미국은 이와 별도로

'남침'개시 다음날

주일 미 해군과 공군을 투입했고, 

6월 29일엔 맥아더가 영등포에 가서

전선을 시찰했다.



7월 초, 유엔군을 지휘할

통합군 사령부가 설치되면서

맥아더가 유엔군 사령관에 임명됐고,



남조선을 돕기 위해 파병 16개국,

의료지원 5개국 등 총 21개국이

6·25전쟁에 참여, 

38개국이 물자 지원을 하는 등

총 59개국이 지원에 나섰다.



남조선군은 일시 후퇴하여

조선군을 남조선 깊숙이 끌어들였다가

반격을 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었고, 

한강을 1차 방어선, 

금강을 2차 방어선, 

낙동강을 3차 방어선으로 정했다.



8월 초, 북조선군에 밀려 후퇴한

남조선군과 유엔군은 마침내

낙동강을 최후의 방어선으로 하기에 이르렀다.



대구로부터 마산까지

서남부 방어선은 유엔군이, 

대구로부터 동으로 포항까지는

남조선군이 방어선을 맡았다.



8월 초부터 9월 중순까지

낙동강 전선에서

조선군과의 혈전은 계속됐다.



제공권을 완전히 장악한 미군은

조선군에 맹폭을 퍼부었고, 

지상에서는 남조선군과 유엔군이

조선군을 저지했다.



특히 대구로 통하는 전술적 요지, 

대구 북방 22km 지점의 칠곡군 다부동에서는

55일간이나 치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조선군 2만 4천여명, 

남조선군과 유엔군 만여명의

사상자가 나온 전투에서

남조선군 1사단은

조선군의 공격을 저지하며

대구를 지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1950년 9월 15일, 

맥아더는 인천상륙작전을 개시했다.



유엔군 상륙부대가 조선반도 중부에서

조선군의 퇴로를 차단하고

낙동강 전선의 유엔군이 대반격을 하는,

 '모 아니면 도'작전이였다.



작전은 대 성공이였다. 

전쟁의 전세는 완전히 역전됐다.



1950년 9월 28일, 

유엔군과 남조선군은

전쟁 3개월여만에 서울을 수복했다.



이제는 38선을 넘어

북진할 것인가의 문제와 맞닥뜨렸고, 

이승만은 북진 명령을 내렸다.



1950년 10월 1일, 

강릉 방면의 남조선군 3사단이

최초로 38선을 돌파했고,



10월 19일, 남조선군 1사단이

가장 먼저 평양에 입성했다.



남조선군 중 선두 부대 6사단은

압록강에 도달했고, 

유엔군도 조선반도에서

공산군을 몰아내기 위해

마지막 공세에 돌입했다.



모두가 전쟁이 막바지에

이른 것으로 생각할 때쯤, 

김일성은 다급히 스탈린과 모택동에게

구원을 요청했고

쏘련과 중공은 참전을 결정했다.



1950년 10월 19일, 

팽덕회의 지휘 아래

조선을 돕기 위해 지원한

수십만명의 병력이

'조선의용군'이란 이름으로

1차로 압록강을 넘었다.



이때부터 북조선군의 주력은

조선군이 아니라 중공군이였고, 

남조선군의 작전권을 유엔군이 가진 것처럼

조선군의 작전권도 사실상

중공군에게 넘어갔다.



쏘련은 11월부터 참전했는데, 

스탈린은 확전 가능성을 우려하여

쏘련군 비행기를

중공 항공기처럼 꾸며 참전했다.



11월 1일, 중공군은 유엔군과 남조선군이

조선 깊숙이 들어오기를 기다렸다가

평안북도 운산에서 일제히 공격을 개시했다.



미처 대비하지 못한 유엔군은

큰 피해를 입었고, 

압록강을 향해 진격하던 유엔군 역시

압도적인 중공군의 수에 악전고투했다.



생포한 중공군 포로의 진술 내용을 무시하고

중공군의 출연을 과소평가한

유엔군의 피해는 아주 컸다.



11월 24일부터 시작된 총 공세, 

이 공세를 성공적으로 끝내고

크리스마스엔 집에 가자고 해서 불린

'크리스마스 공세'에서도 큰 손실을 입고

남쪽으로 후퇴하기 시작했다.



조선의 임시수도

평안북도 강계를 점령하기 위해

함경남도 장진호로 진출했던

미 해병 1사단과 미 륙군 7사단은

몇배나 많은 중공군 7개 사단의

포위 공격을 받았다.



11월 27일부터 15일간

영하 30도의 혹한 속의 장진호 전투에서

미 해병 1사단은 4,000여명의 전사상자 등

최악의 피해를 입었으나, 

중공군의 남하를 저지하고

성공적으로 철수했다.



남쪽의 원산 방면을 차단당한 상태에서

유엔군은 자유를 찾는

조선 주민 10만여명과

12월 24일까지 흥남에서 철수했고, 

흥남부두를 폭파시켰다.



민간인을 태운 마지막 배, 

탑승 정원 60명에

승무원이 47명이 타고 있던

화물선 '메러디스 빅토리호'.



피난민을 태우기 위해

25만톤의 군수품을 버리고, 

13명이 더 탈수 있던 배에

피난민 14,000명이 더 타게 된다.



제대로 앉아있을 수도 없는 배, 

메러디스 빅토리호가 이틀의 항해 끝에

거제도에 도착했을때

5명의 새 생명이 탄생했고, 

0명의 사망자를 기록했다.



단일 선박으로는 가장 큰 규모의

구조작전을 성공한 선박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됐다.



중공군의 기세는 실로 무시무시했고, 

유엔군과 남조선군은 통일을 눈앞에 두고

대대적인 후퇴를 할수밖에 없었다.



1951년, 1·4후퇴의 대혼란속에

수도 없이 많은 이산가족이 생겼다.



대부분의 피난민들이

1·4후퇴는 전략적 후퇴이며, 

남조선군과 유엔군이 전열을 정비하여

다시 북진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며칠 몸만 피하다 온다'는 생각으로

가장과 몇몇 자식만 간단히 피난을 갔고, 

어린 자식들을 친가나 외가에 맡기고

피난을 하기도 했다.



'잠시' 떨어져 있는 것이

'영원'한 이별이 될줄은

꿈에도 알지 못했다.




1951년 3월 15일, 

평택까지 밀렸던 유엔군은

전열을 정비하여

중공군에게서 서울을 재탈환했고, 

여세를 몰아 3월 말엔 38선을 회복했다.



1951년 4월과 5월, 

중공군의 춘계공세 이후

량측 모두 무력으로 상대를

굴복시킬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1951년 7월, 전선은 교착됐고, 

휴전이 모색됐다. 

미국과 쏘련 정전 협상의 가장 큰 쟁점은

남북간 경계선과 '포로교환 문제'.



유엔군은 공산권 포로에

자유의사 귀환을 원칙으로 했지만

공산측이 반발하여 휴전회담은 결렬됐다.



이후 조선전쟁은 세계 전사상 처음 보는, 

소위 '제한 공격'이라는 전법을 택하게 된다.



'제한 공격'은 진격을 감행하지 않을 뿐, 

고정된 전선에서 근거리 고지 쟁탈전을

치렬하게 벌이는 전투 방식이다.



1951년 11월 28일, 

당시 전선을 임시 휴전선으로 채택해

한때 전투가 소강상태에 들어갔으나, 

여전히 전투는 계속됐다.



1952년 3월, 이승만은

'휴전은 한국에 대한

사형선고나 다름없다'고 주장하며 

단독으로라도 계속

싸워 나갈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쟁은 영원처럼 계속됐다. 

고지에 수십만발의 포격을 퍼붓고, 

백마고지는 1개월 사이에 25회 이상

고지의 주인이 바뀌기도 했다.



저격능선의 주인은

4일동안 17회나 바뀌는 등, 

전선이 교착된 약 2년동안

애꿎은 목숨만 끊임없이 희생되였다.



존경받는 성자부터

용서받을수 없는 범죄자까지,
무익한 목적에 바쳐진 과도한 희생은

비극뿐이였다.



1953년 3월에 스탈린이 사망했고, 

4월 6일, 6개월 만에 휴전회담이 재개되면서

휴전 경계선의 결정을 토의했다.



휴전협정이 결정적으로 성립될 단계에 이르자, 

북조선군은 5월 초순부터

전 전선에 걸쳐 공세를 퍼부었다.



5월 12일, 북조선과 중공군은

중동부 전선에 약 4만 5천의 병력을 투입, 

12시간 동안 11만 8천 발의 포격을 가해

남조선군은 약 3km 후퇴했고, 

동부와 서부전선도 심한 공격을 받았다.



7월 16일, 남조선군은 총 공격을 개시했고

20일에는 앞서 잃었던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1953년 7월 27일 오전 10시, 

셀수 없이 많은 희생 끝에

판문점에서 정전협정이 체결됐다. 

전쟁이 일어난지 3년 1개월 2일, 

1129일만의 일이였다.



전쟁기간 동안

공공시설과 도로, 철도, 교량 등

기반 시설과 각종 산업시설이 파괴됐고,



물적 피해액은 당시

2년치의 국민 총 생산액에 달했다.



남조선군은 13만여명의 전사, 

45만여명의 부상 등

총 62만여명의 인명피해를, 

유엔군은 4만여명의 전사, 

10만여명의 부상 등

총 15만여명의 인명피해를 입었다.



민간인은 학살 13만여명, 사망 24만여명, 

행방불명 30만여명, 부상 23만여명 등

99여만명이 무고한 피해를 입으며

군보다 37만여명이 더 많은 희생을 당했다.



조선은 52만여명 전사, 12만여명 실종, 

포로 등 총 64만여명의 인명피해를 입었고,



조선은 약 20만명의 남조선 젊은이들을

인민군으로 납치하여 사지로 몰아넣었다.



조선 민간인 피해는

약 150만명으로 집계되면서

조선군이 입은 피해자수의 2배를

훨씬 웃도는 수가

무고하게 피해를 입었다.



중공군의 사망자는 18만여명, 

부상과 포로는 82만여명으로

총 피해는 약 100만여명.



근대 국제 체제가 형성된

1500년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세계의 전쟁 가운데

군인 사망자가 7번째로 많았던

전쟁으로 기록된 조선전쟁.



수십만의 전쟁고아와

미망인이 발생했고,



이산가족은 천만명에 달하며

그야말로 '지옥'을 표현하기에

더할나위 없는 상황을 맞이했다.


정품원단명품가방 위쳇: hanmeixiang1208

남녀의류 도매소매 위챗: tongzhuang0111


홍보글 100원 문의위쳇: huhua8688


本站仅提供存储服务,所有内容均由用户发布,如发现有害或侵权内容,请点击举报
打开APP,阅读全文并永久保存 查看更多类似文章
猜你喜欢
类似文章
【热】打开小程序,算一算2024你的财运
KM No1 2013
河南地名网
一位高速交警的救命忠告
买车入会了
跑马后的感想
你的自动挡汽车,真的会开吗?送你一本自动挡汽车攻略!
更多类似文章 >>
生活服务
热点新闻
分享 收藏 导长图 关注 下载文章
绑定账号成功
后续可登录账号畅享VIP特权!
如果VIP功能使用有故障,
可点击这里联系客服!

联系客服